본문 바로가기

보육학개론28

운영주체에 따른 보육의 유형 영유아보육법 제10조에서는 보육시설의 종류를 국공립 보육시설, 법인 보육시설, 직장보육시설, 가정보육시설, 부모협동 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 등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보육시설의 운영 기준에서는 국공립 보육시설이나 시장, 군수, 구청장의 인가를 받아 설치되어 운영되는 보육시설만이 보육시설의 명칭을 'ㅇㅇ어린이집'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01. 국공립 보육시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설치, 운영(위탁운영 포함)하는 보육시설로서 지역 주민 자녀를 보육아동 정원의 50% 이상, 상시 영유아 11인 이상을 보육하여야 합니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인가 절차없이 직접 설치하되, 보육시설 수급계획 등을 포함한 보육계획을 사전에 수립하여야 하며, 지방자치단체 외의.. 2022. 12. 16.
보육시설 운영관리의 원리와 원아관리 보육시설의 운영은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보육환경을 제공하여 영유아들이 전인적으로 성장하고 발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보육시설의 특성에 따라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보육시설의 운영관리는 일반적으로 원아 관리, 인사관리, 사무관리, 재무관리, 시설 및 설비관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01. 보육시설 운영관리의 개념 운영관리의 개념은 학자들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김옥련(1993)은 운영관리를 시설의 목적과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인적, 물적, 재정적 그리고 운영방법적 조건을 정비하고 운3영하는일이라고 하였습니다. 운영관리는 시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계획하고, 조직하고, 실행하고, 평가.. 2022. 12. 16.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자격기준 01. 보육교사의 자격기준 2005년 1월 30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보육교사 국가자격제도는 교육교사 자격관리에 효율성을 제고하고, 나아가서 보육교사의 자질 향상 및 전문성 제고,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를 가져옵니다. 이러한 보육교사 자격제도의 목적은 개정된 영유아 보육법령에 의하여 2005년 1월 30일부터 교육교사 국가자격증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보육교사 자격검정 및 발급절차에 관하여 세부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각급 대학, 교육훈련시설 및 자격증 발급 신청자 등에게 이해를 돕고 보육교사 자격관리 사무국의 자격증 발급 업무의 효율적 수행을 목적으로 합니다. 그동안 보육교사의 자격은 영유아보육법에 의하여 자격 인정 기준만 갖추고 자격검정 및 자격증 발급 절차가 없어서 자격을 개별 법령으로 규정하고.. 2022. 12. 15.
보육교사의 역할 및 자질 '영유아보육법'에서는 보육시설 종사자를 '보육시설에서 영유아의 보육, 건강관리 및 보호자와의 상담, 기타 업무를 담당하는 자'로 규정하였습니다. 보육시설 종사자라 함은 영유아의 보호 및 교육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보육교사 외에 시설장, 의사, 간호사, 영양사, 취사부, 관리인, 사무원, 운전기사 등 보육시설의 관리, 운영에 관계하는 모든 사람을 말합니다. 이들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모든 사람들은 제각기 맡은 바 역할이 있고 따라서 이러한 역할을 충분하고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에 필요한 자질과 소양을 갖추어야 합니다. 그중, 보육교사의 역할은 영유아 보육의 질적 수준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입니다. 보육교사는 보육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여 영유아의 안전한 보호와 전인적인 발달을.. 2022. 12. 15.